감염병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료제와 백신이 필요하다. 흔히 이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말 그대로 치료제는 병을 치료하는 개념이고, 백신은 예방차원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예방백신과 치료제의 개발은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백신의 경우 아예 처음부터 새로 만드는 개념이라 성공 여부조차 장담할 수 없다. 그러나 치료제의 경우 아예 새로운 약을 만드는 개념도 있지만 기존에 출시되어 있는 약의 효과를 찾아 확인하는 경우도 있기에 조금 다르다 볼 수 있다.
그간 유력하게 거론되었던 코로나 19의 치료제로는 렘데시비르, 칼레트라, 클로로퀸(하이드록시 클로로퀸), 아비간이 있었다. 우리나라의 중앙임상위는 이 중 렘데시비르의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고 밝힌바 있고, 해외에서는 클로로퀸의 효능성 여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아쉽게도 아비간, 칼레트라는 효과에 의문이 있어 제외).
지난 4월 3일과 오는 4월 10일은 중요한 의미가 있는 날이다. 바로 렘데시비르의 임상 3상 테스트 결과가 나오는 날이기 때문이다. 흔히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이 두 날의 의미인데,상당수 언론에서는 이 두 날에 임상 테스트 결과발표가 있는 것으로 얘기하나 실제로는 중국에서 진행되었던 2건의 임상 3상 테스트가 끝나는 날이다.
사실 아직까지 그 결과에 대한 소식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그 결과의 성격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시그널이 나왔다. 즉, 렘데시비르의 제조사인 길리어드사가 생산설비를 증설했다는 소식이 증권가 퍼진 것이다. 현재 생산능력은 14만명 분인데, 이를 연말까지 최대 100만명 분까지 확대한다는 얘기이다.
물론 아직 결과발표도 되지 않는 상황이기에 설레발을 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이 성공의 기대감을 높이는 시그널로 보는데는 시장의 이견이 없는 것 같다. 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가. 신종플루 때 타미플루가 신속하게 상황을 안정시켰던 것처럼 이 약의 테스트 결과에 따라 상황은 급변하게 될 것이다.
다만, 그 결과가 좋다고 해서 바로 약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님 역시 중요하다. 전세계적으로 4월 7일 기준 127만명 선이란 점에서 이 약이 보급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우리나라의 임상 3상이 5월 1일에 끝나고 이미 일부 재고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은 불행 중 다행이라 할 수 있겠다.

'[안전]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안전지도사 온라인 과정 개설안내! (0) | 2020.11.19 |
---|---|
"어린이안전지도사" 온라인 자격과정 개설안내 (0) | 2020.08.29 |
코로나 블루, 코로나 스트레스, 코로나 우울증을 극복하는 4가지 방법 (0) | 2020.03.18 |
우리의 방역을 배워도 해외 코로나 19 방역이 실패할 확률이 높은 이유 (0) | 2020.03.15 |
코로나19 신약개발 뉴스를 거르면서 봐야 하는 이유 (2) | 2020.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