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줄기를 가르며 내려가는 길입니다. 오랜만에 내리는 "단비" 였지만 뒷 좌석에 있는 아내에게는 그리 반갑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제 눈에는 더욱 굵어지는 빗줄기가 아내의 눈물처럼만 보였습니다. 지금은 장모님께서 다리를 다치신 소식을 듣고 시골에 내려가는 길입니다.
좀 뜬금없긴 합니다만, 혹시 "농부병" 이란 단어를 들어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모든 걸 손으로 해결하던 시절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농사를 지어 무릎과 허리에 병이 생기는 농부들의 질환을 나타내는 말인데요.
예, 지난 주말 저희는 오랜 시간 농사를 지으시고, 연세가 드심에 따라 퇴행성 관절염이 오신. 그리고 지난 주 차량에서 내리다 무릎에 충격이 와서 거동이 힘드신 장모님을 뵈러 갔습니다.
처가에 도착해보니 상황은 생각보다 심각했습니다. 워낙 긍정적이신 장모님은 웃고 계셨지만 걷기가 아예 불가능하여 바닥을 기어다니셔야 할 정도였습니다. 제 마음이 많이 불편해지고, 아파옴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제가 이러니 부모님께 많은 사랑을 받았던 막내딸 아내는 오죽했을까요. 표현은 안 했지만 눈빛 하나하나에서 그 마음이 느껴졌습니다.
그래도 이제 세살된 딸아이가 우리 모두에게 웃음을 줍니다. "할머니~" 하면서 장모님 품에 안기니 장모님의 미소가 더욱 활짝 핌을 보게 됩니다. 곰 세마리를 부르고, 바닥을 콩콩 뛰는 모습을 보며 온 가족이 웃을 수 있었습니다. 자칫 조금은 무거울 수 있었던 시간을 잘 넘기며 아내가 장모님의 치료에 대해 얘기를 꺼내었습니다.
우선 저희는 올 여름에 저희 집에서 쉬실 것을 말씀드렸습니다. 저희 부부는 이번 8월에 2년 계약으로 국민임대주택에 들어가게 되었는데요. 올라오셔서 운동도 하고, 손녀 재롱도 보시면서 요양하시는 게 어떻겠냐는 것이었습니다.
그 다음 저희와 함께 병원을 방문해보심이 어떻겠냐 말씀드렸습니다. 몇 가지 검사도 해보고, 만약 인공관절 수술을 하는 게 장모님의 노후를 위해 더욱 좋은 선택이라면 비용부담을 갖지 마시고 한번 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저희의 제안을 들으신 장모님께서는 말씀이 없었습니다. 시골에 혼자 계실 장인 어른도 걸리고, 혹시나 저희 부부에게 부담이 될까 싶으신 듯 합니다. 예, 역시나 제 생각이 맞는지 장모님은 일단 침도 좀 맞고, 쉬다 보면 괜찮아 질 것이라 예전에도 그랬다 말씀하십니다.
하하, 옆에서 이 얘기를 듣는 데 제가 괜히 뭔가 찔리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그 동안 "어머니~어머니~" 하면서 나름 최선을 다해왔던 저였지만 사위는 언제나 가장 어려운 손님이란 말도 있듯 제가 부담되어 선뜻 '그러자' 못하시는 게 아닐까 싶어서 입니다. 당연히 여쭤보면 아니라 하시겠지만 제가 좀 켕기는 게 있는 건지 계속 마음이 걸림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어제 아내와 얘기해보니 다행이 장모님의 병세는 조금 나아지셨다 합니다. 진단 결과를 보니 퇴행성 관절염에 일시적인 충격이 가해져 신경이 놀란 것이라는 데요. 이대로 며칠 휴식을 취하며 계속 치료 받으시면 괜찮을 것이라 합니다. 제 마음도 좀 안심이 되었고, 다시 한번 장모님의 쾌유를 기도하였습니다.
그러나 마음에는 또 하나의 바람이 남았습니다. 장모님께서 저를 처남처럼 농사지을 때 막 부려먹기도 하시고, 편하게 생각하셨으면 좋겠다 싶은 것이었습니다. "사위" 도 "아들" 이고, 장인 장모님은 제게 있어 또 하나의 "부모님" 이시니 말입니다.
하하, 이거 제가 더 노력해야 하는 것이 맞는 거겠지요? 다음에는 좀 더 애교있게 장모님을 뵈어야 할까 봅니다.
음..
이거 혹시 산적 같은 외모 때문에 역효과가 나는 건 아닐지 모르겠군요 ㅋ ^.^;;
'[LIFE]이 남자의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의 변신은 무죄다! 그 남자의 몸짱 프로젝트 (2) | 2009.05.20 |
---|---|
남자는 결혼해야 철이 든다? (4) | 2009.05.19 |
꺽정샘의 수학강사생활 일기 (4) | 2009.05.15 |
서로 챙겨주는 맛이 있어야 부부다. (5) | 2009.05.06 |
주말부부 설움, 아프니 느껴진다. (7) | 2009.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