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10대 소녀가 에이즈에 걸린채 성매매를 했다는 보도가 충격을 주고 있다. 이는 필자 역시 마찬가지인데, 사건자체가 주는 충격은 물론 조금 자세히 10대 소녀, 청소년 성매매, 에이즈, 언론보도 어느 것 하나 걸리지 않는게 없었다. 뭔가 잘 못 되도 한참 잘못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필자가 이런 느낌을 받게 된 이유는 무엇때문이었을까.
1.10대 소녀는 왜 성매매를 할 수 밖에 없었나?
언론보도를 보니 그냥 10대 여성이 아니다. 지적장애 2급의 소녀이다. 이 소녀는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정신병원에 입원했다 만난 20대 남자와의 성관계에서 에이즈에 감염 되었다한다. 그리고 병원에서 나온 뒤 찜질방과 여인숙 등을 전전하며 생활을 했고, 생활비를 벌기 위해 성매매에 나서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점이 중요하다.
보건사회연구원의 작년 보고에 따르면 청소년 성매매 동기 1위가 바로 생활비 마련(40%)이었다. 그 다음이 유흥비 마련(37%)이었는데, 이 역시 가출청소년 등 위기 청소년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은 즉, 청소년의 삶에 뭔가 문제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말하자면 개인의 문제 이전에 이들이 이렇게 나서게 된 복지와 인권의 문제가 연관되어 있다는 얘기다.
이번 사건 역시 이점을 보아야 한다. 이 소녀에게 모든 도덕적 비난을 쏟아붓기 전 우리는 왜 이 소녀가 성매매에 나설 수 밖에 없었나를 보고, 이에 상응하는 사회적 합의와 변화를 이끌어내야만 제2 제3의 경우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2.청소년 성매매를 시도했던 20여명은 도대체 무언가?
성매매는 성폭력을 감소시키거나 성욕의 해소를 통해 감정을 완화시키는 기능은 커녕 오히려 상품화 된 여성의 몸과 성에 쉽게 접근하고, 이런 경험을 통해 여성을 대상화 또는 물화시킨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때, 대상이 된 여성은 상황에 대한 통제권이 전혀없고, 자발적으로 그만 둘수조차 없는 수동적 존재로 전락되기에 성매매는 기본적으로 폭력적 속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매매 역시 성폭력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해야 하고, 성매매를 시도했던 이들은 돈과 성을 매개로 한 폭력의 가해자들인 것이다.
이렇게 청소년 성매매에 나서는 자들의 특징은 일단 성매매 자체에 관대하고, 연령대를 가리지 않는다는 데 있다. 즉, 성매매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경험이 이들의 사고와 판단을 무기력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여기에 그들 자신의 내면에 자리잡은 열등감이나 일반 여성과의 관계성에 대한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히며 훗날 성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예 : 김수철). 그러므로 이들은 반드시 강한 처벌과 동시에 꾸준하고도 집중적인 교육과 치료가 병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3.언론보도의 선정성과 관점은 무엇인가?
수많은 언론이 이 사건을 기사화했다. 사건 자체가 주는 충격이 워낙 크기 때문이리라. 하지만 필자는 언론보도를 보며 더 큰 충격을 받았다. 대부분의 언론의 제목이 "10대 여성, 무차별...."이란 용어를 포함 또는 의미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문구 속에는 절대 성매매를 하면 안될 10대와 여성이란 점이 전제되어 있다. 그렇다. 10대는 당연히 성매매를 하면 안된다. 그런데 꼭 굳이 '여성'을 강조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여성의 성에 대한 도덕적 또는 사회적 잣대를 적용한 게 아닌가 싶다. 또 '무차별'이란 말까지 고려해 조금 적나라하게 말하자면 '어린 것이 그것도 여자가 함부로 몸을 굴렸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는 얘기다.
선정적인 문구를 사용하며 특종화 시키고, 또 다시 가족까지 찾아내며 인터뷰하는 잔인함. 보호받고, 사랑받으며, 자신의 꿈을 키워가야할 소녀가 이렇게까지 되어야만 하는 상황을 보지 못한채 비난의 화살을 던져대는 모습. 필자가 언론의 이런 시선을 더 저질처럼 느끼는 것이 조금은 격한 감정이라 할 수 있을까.
정리하며
작년 기준으로 우리 나라 10대 에이즈 감염자는 약 125명 수준이라 한다. 상당한 수치다. 이 아이들의 감염경로는 100% 성접촉에 의한 것이라 하니 도대체 어쩌다가 이 아이들이 이 지경까지 이르게 된 것인지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자신의 감염사실을 알게된 아이들이 겪었을 충격은 어땠고, 그 가족의 마음은 어땠을까. 생각만 해도 가슴이 무겁고, 아려 온다.
물론 이 아이들의 행동을 모두 용인하고, 넘어가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잘못은 잘못이니 분명히 지적해야하겠다. 그러나 그 이전에 이 아이들은 미성년자이고, 이럴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이 있었으며, 우리는 이 아이들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는지 충분한 정보와 교육을 제공하지 못했고, 마지막으로 어른으로서 해서는 안 될 짓을 했다는 점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것이 먼저이지 않을까.
이 글에 공감하시면 손가락 버튼 한번 눌러주세요~
'[성교육]낯설게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족간 성폭력 더 이상 숨길일이 아니다 (0) | 2010.11.10 |
---|---|
동성애자로 살게 하는 게 왜 인권침해인가? (4) | 2010.11.04 |
30대 여교사 사건, 합의와 사랑이 성립되지 않는 이유 (6) | 2010.10.18 |
장애 여중생 성폭행 사건, 경찰은 제 정신인가? (14) | 2010.10.14 |
지연 동영상(?) 논란을 보며 마음이 불편했던 이유 (0) | 2010.10.08 |